메인메뉴

제목

피터팬 증후군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4-02-07

조회수35,127

피터팬 증후군 

             

어린이들의 꿈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순수 동화로 알려진 피터팬, 실상은 20세기 초반 영국 중산층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일종의 사회 고발동화였다.

성의학전문가인 강동우씨에 의하면 가끔 영원히 늙지 않고 어린이로 남아 있는 피터팬이 찾아온다고 한다. 남성 p씨는 신혼이지만 섹스리스로 아무 시도조차 하지 않는 아들이 이해가 안된다고 한다. 내용인즉 부족할 게 없는 부유한 집안에서 부모의 희망대로 명문대를 졸업하고 결혼전까지 연애경험이 없어서 그저 때 묻지 않은 아이로만 생각했고 양갓집 규수와 결혼시겼으나 성행위에 관심이 전혀 없다고 하였다. 성기능에 무슨 문제 있나 자문을 구하였다.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인 독립심이 부족한 이유였다. 그 아들은 평생 이래라 저래라 하는 부모의 명령에 따라 살았을 뿐 스스로 문제나 목표를 찾고 성취하는 과정을 갖지 못한 것이다. 사적인 인간관계를 가져보지 못하고 틈나면 음악이나 게임 등 가상현실에서 만족을 찾을 뿐이었다. "남편은 섹스보다 컴퓨터 게임이 낫대요"라고 말하는 미모의 아내는 애를 태운다. 성장기에 적절한 독립성이나 주체성을 갖고 인간관계 기술을 체득하지 못하였기에 특히 인간관계중 가장 강렬한 관계인 성생활을 부담스러워 하는 것이다.

미국에서 1970년대에 성인사회에 어울리지 못하는 어른아이들이 급격히 증가한 현상을 D.카일리박사가 피터팬 증후군이라 명명하였다. 피터팬 인간들은 무책임, 불안, 고독감, 자기애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며 그중 하나가 성역할의 갈등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어머니로부터 벗어나지 못해 이성 관계에서 주도적이거나 동등한 역할을 기피하고 상대여성으로부터 모성역할을 갈구한다. 실제로 이들에겐 성욕저하, 발기부전 등 성문제가 동반되기도 한다.

한국형 피터팬들은 대도시의 엘리트 집안에 부모 중 한 쪽이 아주 출중한 집안 내력을 가지고 있다. 이경우 부모의 유능함과 컨트롤를 극복한다는 게 불가능하게 여겨져 무의식에 자포자기의 심정이 깔리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입시위주의 교육은 어릴 때부터 친구를 사귀거나 인간관계의 근본을 배울 기회를 박탈당하였기 때문이다. 이 경우 치료의 시작은 아내와의 친밀한 관계를 갖는 훈련이 필요하다. 피터팬 증후군을 방치하면 어른이 된 피터팬의 모습이 바로 후크선장의 모습으로 사회적 무기력증에 자신에 대한 실망으로 이어져 비극적 말년을 맞게 될 수도 있다. 악어에게 잡아먹히는 후크선장처럼 말이다. 이는 원작자인 배리가 알리고자 했던 메시지이기도 하다.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인쇄하기
 

관리자

| 2014-02-07

추천하기0반대하기0댓글등록

위 글은 강동우 백혜경 성의학전문가의 칼럼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스팸방지코드 :